뉴스 & 이슈

뉴스이슈/ 자율주행 중 "잠을 자면 어떤 일이 생기는지 실험"/ 교통사고

mosa-atv 2025. 3. 31. 23:46
반응형
목차
1. 자율 주행 차량의 좌우 흔들림 실험
2. 자율주행 중 핸들을 잡지 않았을 때의 상황
3. 자율주행 차량의 반응 실험
4. 자율주행 보조 장치의 작동 원리
5. 자율주행 기능의 작동 및 비활성화 상황
6. 자율주행의 한계와 안전성 인식

 

자율 주행을 켜 놓고 잠을 잤다는 영상이 화제가 되었다.
출처 - 유튜브 픽플러스

 

이 영상은 자율주행 중 잠들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실험을 통해 보여줍니다.

신형 싼타페 차량을 이용해 다양한 주행 보조 장치의 작동 방식과 한계를 설명하고,
핸들을 놓을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을 지적합니다.

특히, LFA, HDA와 같은 차로 유지 보조 장치핸들 미조작 시작동을 중단하여 차선 이탈 위험이 있음을 강조합니다.
60km 이하의 속도에서는 차선 유지 시스템이 자동으로 꺼지며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도 중단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운전자는 항상 안전 운전에 유의해야 하며, 자율주행 시스템맹신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이 영상은 자율주행 기술의 현실적인 한계를 인지하고 안전 의식을 높이는데 도움을 줍니다.

1. 🚗 자율 주행 차량의 좌우 흔들림 실험

자율 주행 차량의 좌우 흔들림 실험
자율 주행 차량의 좌우 흔들림 실험
출처- 유튜브 픽플러스

 

얼마 전, 자율 주행 중 잠을 자던 영상이 화제가 되었으며, 차량이 음주 운전하듯 흔들리고 앞차를 따라가다 멈춰 버리는 모습이 담겼다.

영상의 시청자들 사이에 반자율 주행에 대한 다양한 추측이 있었다.

비슷한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해당 차량인 신형 싼타페로 직접 실험을 진행하기로 했다.

본격적인 실험 전에, 싼타페의 반자율 주행이 실제로 좌우로 흔들리는지 여부를 확인했다.

 2. 🚗 자율주행 중 핸들을 잡지 않았을 때의 상황

자율주행 중 핸들을 잡지 않았을 때의 상황
출처- 유튜브 픽플러스

 

자율주행 차량이 오랜 시간 동안 핸들을 잡지 않으면 경고가 발생하고 기능이 꺼진다.

차량이 도로에서 주행 중일 때, 한쪽으로 기울어지며 차선에 맞춰 방향을 조정하는 모습을 보인다.
차선이 사라지는 상황에서는 차량이 적절한 경로를 찾기 어려워지는 것으로 보인다.

실험 중에 차량은 주행 과정에서 스스로 중앙으로 돌아오는 기능을 보였다.
이러한 상황은 자율주행 기능이 완전하지 않음을 시사한다.

 3. 🚗 자율주행 차량의 반응 실험

자율주행 차량의 반응 실험
자율주행 차량의 반응 실험
자율주행 차량의 반응 실험
자율주행 차량의 반응 실험
출처- 유튜브 픽플러스

 

자율주행 중 차선이 사라지면 차량의 행동어떻게 변하는지를 실험하고 있다.

차량이 다른 차를 막고 속도를 줄이며 장애물을 피하는 상황을 재현하고 있다. 

실험을 통해 자율주행 차량이 속도를 감속할 때의 반응을 확인하고 있다.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하며 차량의 제어 상황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속도를 줄이는 상황을 다시 한번 반복해 관찰하고 있다.

 4. 🚗 자율주행 보조 장치의 작동 원리

자율주행 보조 장치의 작동 원리
자율주행 보조 장치의 작동 원리
자율주행 보조 장치의 작동 원리
자율주행 보조 장치의 작동 원리
출처 - 유튜브 픽플러스

 

주행 보조 장치는 차로 유지 보조 장치(LFA), 고속도로 주행 보조 장치(HDA)차로 이탈 방지 보조 장치(LKA),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CC) 등 네 가지 기기로 구성되어 있다.

핸들을 잡지 않으면 차로 유지 보조와 고속도로 주행 보조 기능이 꺼져 차선 중앙으로 주행할 수 없게 된다.

차로 이탈 방지 보조 장치스마트 크루즈컨트롤은 여전히 작동하며, 차로를 이탈하지 않고 설정된 속도로 주행할 수 있다.

주행 보조 장치가 꺼지지 않고 계속 작동하면서도 경고음이 발생할 수 있다.

상황에 따라 핸들을 잠시라도 잡지 않으면 경고음이 울리며 주행 보조 장치의 작동이 계속될 수 있다.

 5. 🚗 자율주행 기능의 작동 및 비활성화 상황

자율주행 기능의 작동 및 비활성화 상황
자율주행 기능의 작동 및 비활성화 상황
자율주행 기능의 작동 및 비활성화 상황
출처 - 유튜브 픽플러스

 

자율주행 차량 은 정상적으로 주행하지만, 특정 기능인 차선 중앙 유지는 꺼져 있는 상태이다.

차선 유지는 차량이 이탈할 경우에만 작동하는 보조 기능이다.

차속이 60km 이하로 떨어지면 차로 이탈 방지 보조 장치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이 자동으로 꺼진다.

앞차 속도 감소로 인해 차량의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도 자동으로 줄어든다.

이러한 상황에서 주행 중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6. 🚗 자율주행의 한계와 안전성 인식

자율주행의 한계와 안전성 인식
자율주행의 한계와 안전성 인식
자율주행의 한계와 안전성 인식
출처 - 유튜브 픽플러스

 

차선 이탈 방지가 꺼지면서 차량이 특정 방향으로 계속 주행하게 되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상황은 충돌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자율주행 기능은 보조 기능에 불과하며, 주행 보조 기능이라고 언급되었다.

자율주행이나 반자율주행으로 인한 오해가 있을 수 있으며, 

단순히 여행 중 수면을 취하는 것 허용되지 않는다고 설명된다.

마무리

여러분 자율주행 기능 또는 크루즈기능은 편의적으로 있는 기능이오니, 장거리 운전 시 절대로 자율주행 기능만 믿고 운전하시면 큰일 납니다.

 

저 또한 실제로 자율주행 자동차접촉사고가 난 적이 실제로 있었습니다.

 

고속도로에서 4중 추돌 사고였으며, 다행히 인명 사고는 없었지만, 자율주행 시험성능 운행차 1대가 4대의 안전을 위협하였으며,

 

정말로 큰 사고로 이어질 뻔 한 경험이었습니다.
 
다음에 기회가 되면 직접 사고 났던 당시의 블랙박스 영상도 참고로 올려보겠습니다.

반응형